20200502 알고리즘

불량 사용자

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목록을 만들어서 당첨 처리 시 제외하도록 이벤트 당첨자 담당자인 프로도 에게 전달하려고 합니다. 이 때 개인정보 보호을 위해 사용자 아이디 중 일부 문자를 ’’ 문자로 가려서 전달했습니다. 가리고자 하는 문자 하나에 ’’ 문자 하나를 사용하였고 아이디 당 최소 하나 이상의 ’*’ 문자를 사용하였습니다. 무지와 프로도는 불량 사용자 목록에 매핑된 응모자 아이디를 제재 아이디 라고 부르기로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에 응모한 전체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다음과 같다면

응모자 아이디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다음과 같이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전달된 경우,

불량 사용자
frd
abc1**

불량 사용자에 매핑되어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abc123
제재 아이디
fradi
abc123

이벤트 응모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userid와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bannedi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몇가지 경우의 수가 가능한 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user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
  • user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습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banned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userid 배열의 크기 이하입니다.
  • banned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 가리기 위한 문자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 문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 하나는 응모자 아이디 중 하나에 해당하고 같은 응모자 아이디가 중복해서 제재 아이디 목록에 들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
  • 제재 아이디 목록들을 구했을 때 아이디들이 나열된 순서와 관계없이 아이디 목록의 내용이 동일하다면 같은 것으로 처리하여 하나로 세면 됩니다.

[입출력 예]
user_id banned_id result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abc1**"]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rodo", "*rodo", "******"]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rodo", "******", "******"] 3

Solution

function solution(user_id, banned_id) {
    const answer = new Set()
    const ch = new Array(user_id.length).fill(0)
    const dis = new Array(banned_id.length).fill(0)
    
    function DFS(L){
        if (L === banned_id.length){
            answer.add(dis.concat().sort().join(''))
        }
        else {
            for (let i=0; i<user_id.length; i++){
                if (!ch[i]){
                    if (user_id[i].length === banned_id[L].length){
                        let alpha_cnt = 0
                        let star_cnt = 0
                        for (let j=0; j<user_id[i].length; j++){
                            if (banned_id[L][j] === '*'){
                                star_cnt += 1
                            } else if (banned_id[L][j] === user_id[i][j]){
                                alpha_cnt += 1
                            }
                        }
                        if (alpha_cnt + star_cnt === user_id[i].length){
                            ch[i] = 1
                            dis[L] = i
                            DFS(L+1)
                            ch[i] = 0
                        }    
                    }
                }
            }
        }
    }
    
    DFS(0)
    return answer.size
}

디스크 컨트롤러

하드디스크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컨트롤러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 0ms 시점에 3ms가 소요되는 A작업 요청
- 1ms 시점에 9ms가 소요되는 B작업 요청
- 2ms 시점에 6ms가 소요되는 C작업 요청

와 같은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image

한 번에 하나의 요청만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작업을 요청받은 순서대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이 처리 됩니다.

image

- A: 3ms 시점에 작업 완료 (요청에서 종료까지 : 3ms)
- B: 1ms부터 대기하다가, 3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2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1ms)
- C: 2ms부터 대기하다가, 12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8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6ms)

이 때 각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은 10ms(= (3 + 11 + 16) / 3)가 됩니다.

하지만 A → C → B 순서대로 처리하면

image

- A: 3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3ms)
- C: 2ms부터 대기하다가, 3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9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7ms)
- B: 1ms부터 대기하다가, 9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8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7ms)

이렇게 A → C → B의 순서로 처리하면 각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은 9ms(= (3 + 7 + 17) / 3)가 됩니다.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이 요청되는 시점, 작업의 소요시간]을 담은 2차원 배열 job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을 가장 줄이는 방법으로 처리하면 평균이 얼마가 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단, 소수점 이하의 수는 버립니다)

제한 사항
  • jobs의 길이는 1 이상 500 이하입니다.
  • jobs의 각 행은 하나의 작업에 대한 [작업이 요청되는 시점, 작업의 소요시간] 입니다.
  •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이 요청되는 시간은 0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의 소요시간은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하드디스크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먼저 요청이 들어온 작업부터 처리합니다.
입출력 예
jobs return
[[0, 3], [1, 9], [2, 6]] 9
입출력 예 설명

문제에 주어진 예와 같습니다.

  • 0ms 시점에 3ms 걸리는 작업 요청이 들어옵니다.
  • 1ms 시점에 9ms 걸리는 작업 요청이 들어옵니다.
  • 2ms 시점에 6ms 걸리는 작업 요청이 들어옵니다.

Solution

function solution(jobs) {
    const length = jobs.length
    jobs.sort((a,b) => a[0]-b[0])
    let waitQ = [] 
    const progressQ = [] 
    let total = 0
    let cur_time = 0
    while (jobs.length>0 || waitQ.length > 0){
        if (waitQ.length > 0){
            waitQ = waitQ.map(v => ({remain: v['remain'], time: v['time']+1}))
        } // waitQ time ++
        const requests = []
        while (true){
            if (jobs.length> 0 && jobs[0][0] === cur_time){
                requests.push(jobs.shift())
            } else break
        }
        if (requests.length > 0){
            requests.forEach(v => waitQ.push({remain: v[1], time: 0}))
        }
        if (progressQ.length > 0){
            let {remain, time} = progressQ[0]
            progressQ[0]['remain'] = remain - 1
            progressQ[0]['time'] = time + 1
            if (remain-1 === 0){
                total += progressQ[0]['time']
                progressQ.shift()
                //다음 작업 찾기
                if (waitQ.length > 0){
                    waitQ.sort((a,b) => b['remain'] -a['remain'])
                    progressQ.push(waitQ.pop())
                }
            }
        }// 진행 중 작업 있다.
        else if (!progressQ.length){
            if (waitQ.length > 0){
                waitQ.sort((a,b) => b['remain']-a['remain'])
                progressQ.push(waitQ.pop())    
            }
        }
        cur_time += 1
    }
    // 큐 채워져있는지 확인해야해
    if (progressQ.length > 0){
        total += progressQ[0]['time'] + progressQ[0]['remain']
    }
    return Math.floor(total / length)
}

3. 셔틀버스

카카오에서는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기 때문에 판교역에서 편하게 사무실로 올 수 있다. 카카오의 직원은 서로를 ‘크루’라고 부르는데, 아침마다 많은 크루들이 이 셔틀을 이용하여 출근한다.

이 문제에서는 편의를 위해 셔틀은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운행한다고 가정하자.

  • 셔틀은 09:00부터 총 nt분 간격으로 역에 도착하며, 하나의 셔틀에는 최대 m명의 승객이 탈 수 있다.
  • 셔틀은 도착했을 때 도착한 순간에 대기열에 선 크루까지 포함해서 대기 순서대로 태우고 바로 출발한다. 예를 들어 09:00에 도착한 셔틀은 자리가 있다면 09:00에 줄을 선 크루도 탈 수 있다.

일찍 나와서 셔틀을 기다리는 것이 귀찮았던 콘은, 일주일간의 집요한 관찰 끝에 어떤 크루가 몇 시에 셔틀 대기열에 도착하는지 알아냈다. 콘이 셔틀을 타고 사무실로 갈 수 있는 도착 시각 중 제일 늦은 시각을 구하여라.

단, 콘은 게으르기 때문에 같은 시각에 도착한 크루 중 대기열에서 제일 뒤에 선다. 또한, 모든 크루는 잠을 자야 하므로 23:59에 집에 돌아간다. 따라서 어떤 크루도 다음날 셔틀을 타는 일은 없다.

입력 형식

셔틀 운행 횟수 n, 셔틀 운행 간격 t, 한 셔틀에 탈 수 있는 최대 크루 수 m, 크루가 대기열에 도착하는 시각을 모은 배열 timetable이 입력으로 주어진다.

  • 0 < n ≦ 10
  • 0 < t ≦ 60
  • 0 < m ≦ 45
  • timetable은 최소 길이 1이고 최대 길이 2000인 배열로, 하루 동안 크루가 대기열에 도착하는 시각이 HH:MM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 크루의 도착 시각 HH:MM00:01에서 23:59 사이이다.

출력 형식

콘이 무사히 셔틀을 타고 사무실로 갈 수 있는 제일 늦은 도착 시각을 출력한다. 도착 시각은 HH:MM 형식이며, 00:00에서 23:59 사이의 값이 될 수 있다.

입출력 예제

n t m timetable answer
1 1 5 [08:00, 08:01, 08:02, 08:03] 09:00
2 10 2 [09:10, 09:09, 08:00] 09:09
2 1 2 [09:00, 09:00, 09:00, 09:00] 08:59
1 1 5 [00:01, 00:01, 00:01, 00:01, 00:01] 00:00
1 1 1 [23:59] 09:00
10 60 45 [23:59,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23:59] 18:00

Solution

function convert(minutes){
    let hour = Math.floor(minutes / 60)
    let minute = minutes % 60
    if (hour < 10) hour = `0${hour}`
    if (minute < 10) minute = `0${minute}`
    return `${hour}:${minute}`
}

function solution(n, t, m, timetable) {
    timetable = timetable.map(v => {
        const [hour, minute] = v.split(':')
        return Number(hour)*60+Number(minute)
    })
    timetable.sort((a,b) => a-b)
    let i=1;
    let cnt = 0 // 매 버스마다 몇명 태웠는지
    let s = 0 // array queue 를 가리키는 index
    while (i<=n){
        cnt = 0
        const cur = 540 + (t * (i-1))
        if (i == n){
            let tmp_s = s
            for (let j=tmp_s; j<timetable.length; j++){
                if (timetable[j] <= cur){
                   cnt += 1
                   tmp_s += 1
                   if (cnt === m) break
               }
            }
            if (cnt+1 <= m) return convert(cur)
            else return convert(timetable[s+(m-1)]-1)
        } else {
           for (let j=s; j<timetable.length; j++){
               if (timetable[j] <= cur){
                   cnt += 1
                   s += 1
                   if (cnt === m) break
               }
           }     
        }
        i += 1
    }
}

4. 이중우선순위큐

이중 우선순위 큐는 다음 연산을 할 수 있는 자료구조를 말합니다.

명령어 수신 탑(높이)
I 숫자 큐에 주어진 숫자를 삽입합니다.
D 1 큐에서 최댓값을 삭제합니다.
D -1 큐에서 최솟값을 삭제합니다.

이중 우선순위 큐가 할 연산 oper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연산을 처리한 후 큐가 비어있으면 [0,0] 비어있지 않으면 [최댓값,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구현해주세요.

제한사항
  • operations는 길이가 1 이상 1,000,000 이하인 문자열 배열입니다.
  • operations의 원소는 큐가 수행할 연산을 나타냅니다.

    • 원소는 “명령어 데이터” 형식으로 주어집니다.- 최댓값/최솟값을 삭제하는 연산에서 최댓값/최솟값이 둘 이상인 경우, 하나만 삭제합니다.
  • 빈 큐에 데이터를 삭제하라는 연산이 주어질 경우, 해당 연산은 무시합니다.
입출력 예
operations return
[I 16,D 1] [0,0]
[I 7,I 5,I -5,D -1] [7,5]
입출력 예 설명

16을 삽입 후 최댓값을 삭제합니다. 비어있으므로 [0,0]을 반환합니다. 7,5,-5를 삽입 후 최솟값을 삭제합니다. 최대값 7, 최소값 5를 반환합니다.

Solution

function solution(operations) {
    const q = []
    for(const v of operations){
        const [command, number] = v.split(' ')
        if (command === 'I'){
            q.push(Number(number))
        } else if (command === 'D'){
            if (q.length !== 0){
                if (number === '1' ){
                    q.sort((a,b) => a-b)
                    q.pop()
                } else {
                    q.sort((a,b) => b-a)
                    q.pop()
                }    
            }
        }
    }
    if (!q.length) return [0,0]
    else {
        const answer = [-2147000000, 2147000000]
        for (const v of q){
            if (v > answer[0]) answer[0] = v
            if (v < answer[1]) answer[1] =v
        }
        return answer
    }
}

Written by@[HongDongUk]
공부한 것을 소소하게 적는 블로그.

GitHub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