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ton onclick="handler()">click</button>
...
<script>
function handler() { alert('clicked!') }
</script>
이때 함수가 즉시 호출되는 것이 아니다. button
요소의 onclick
프로퍼티에 function onclick(event) { handler() }
가 할당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여러개의 핸들러 함수가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this
는 이벤트 핸들러 함수가 일반 함수로서 호출되므로 window
를 가리킨다.
<button onclick="handler1(); handler2();">click</button>
...
<script>
function handler1() { alert('clicked!') }
function handler2() { alert('clicked!') }
</script>
이 방식은 하나의 요소에 하나의 이벤트 핸들러 만 등록 가능하다.
<button class="btn">click</button>
...
<script>
const btn = document.querySelector('.btn')
btn.onclick = function() {
alert('clicked')
}
</script>
여기서 이벤트 핸들러는 메소드이므로 이벤트 핸들러 내부의 this
는 이벤트 핸들러가 바인딩된 요소를 가리킨다. ( 이벤트 객체의 currentTarget
프로퍼티와 같음 )
addEventListener
메소드를 이용하여 DOM 요소에 이벤트를 바인딩하고, 해당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될 콜백 함수를 지정한다.
addEventListenr 메소드는 IE9 이상에서 동작한다. 그 이하에서는 attachEvent 메소드를 사용한다.
<labael>User name <input type="text"/></labael>
...
<script>
const $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type=text]')
$input.addEventListener('blur', function() {
alert('blur event occured')
})
</script>
이벤트 핸들러가 콜백 함수이지만 this
는 이벤트 리스너에 바인딩된 요소를 가리킨다. ( 이벤트 객체의 currentTarget
프로퍼티와 같음 )
단, 화살표 함수가 이벤트 핸들러로 사용되면 항상 현재 스코프의 상위 컨텍스트를 가리킨다.
계층적 구조를 가진 HTML 요소에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연쇄적 반응이 일어난다. 즉 이벤트가 전파( Event Propagation) 되는데 방향에 따라 버블링과 캡처링으로 구분된다.
자식요소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부모 요소부터 시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킨 자식요소 까지 도달하는 것을 캡처링 이라하고, 자식요소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부모 요소로 전파되는 것을 버블링이라고 한다.
버블링과 캡처링은 둘 중에 하나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캡처링부터 시작하여 버블링으로 종료한다. 즉,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캡처링 -> 버블링으로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addEventListener
메소드의 세번째 인자에 true
로 설정하면 캡처링으로 전파되는 이벤트를 캐치하고, false
또는 미설정하면 버블링으로 전파되는 이벤트를 캐치한다.
<body>
<p>버블버블 <button>캡처캡처</button></p>
</body>
<script>
const body = document.querySelector('body')
const p = document.querySelector('p')
const button = document.querySelector('button')
body.addEventListener('click', () => console.log('body'))
p.addEventListener('click', () => console.log('p'), true)
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console.log('button'))
</script>
위에서 만약 button을 클릭한다면, p태그는 캡처링으로 전파되는 이벤트만 캐치하기 때문에
p
button
body
와 같은 순으로 콘솔이 찍히게 된다.
event
객체는 동적으로 생성된다.event
객체는 이벤트 핸들러에 암묵적으로 전달되고, 이벤트 핸들러는 이를 전달받을 첫번째 매개변수를 명시적으로 선언해줘야 한다. React
에서는 Native 이벤트가 아닌 React Event 객체를 사용한다.실제로 이벤트를 발생시킨 요소를 가리킨다.
<button class="btn-class">click</button>
...
<script>
function handler(e) {
console.log(e.target.className) // btn-class
}
document.querySelector('button').addEventListener('clcick', handler)
</script>
이벤트에 바인딩된 DOM 요소를 가리킨다. 즉 addEventListener
앞에 기술된 객체를 가리킨다.
<button class="btn-class">click</button>
...
<script>
function handler(e) {
console.log(e.currentTarget === this) // true
}
document.querySelector('button').addEventListener('clcick', handler)
</script>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리턴한다.
이벤트 흐름 상에서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반환한다.
반환값 | 의미 |
---|---|
0 | 이벤트 없음 |
1 | 캡쳐링 단계 |
2 | 타깃 |
3 | 버블링 단계 |
다수의 자식요소에 각각 이벤트 핸들러를 바인딩하는 대신 하나의 부모 요소에 이벤트 핸들러를 바인딩하는 방법이다. 이는 이벤트 버블링을 이용한 기법이며 실제로 이벤트를 발생시킨 요소를 알아내기 위해서 event.target
을 이용한다.
추가적으로,
React
에서는 모든 이벤트를document
객체에 등록하고 Event Deleg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폼을 submit
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요소가 가지고 있는 기본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메소드가 preventDefault()
이다.
어느 한 요소를 이용하여 이벤트를 처리한 후 이벤트가 부모 요소로 전파되는 것(버블링)을 중단시키기 위한 메소드이다. 부모 요소에 동일한 이벤트에 대한 다른 이벤트 핸들러가 지정된 경우 사용한다.
element
는 아직 생성되지 않은 이벤트를 리슨할 수 있다.<form>
<textarea></textarea>
</form>
...
<script>
const form = document.querySelector('form')
const textarea = document.querySelector('textarea')
form.addEventListener('customExample', (e) => {
console.log(e.data)
})
const event = new CustomEvent('customExample', {
bubbles: true,
data: textarea.value
})
textarea.addEventListener('input', (e) => {
e.target.dispatchEvent(event)
})
</script>